Monday, May 12, 2025
Home Blog Page 552

모낭 갖춘 피부조직 배양 성공, 탈모 치료 가능할까

피부 세포를 실험실에서 배양하는 건 매우 어렵다.전 세계의 과학자와 제약회사가 40년 넘게 이 일에 매달렸지만, 모낭과 신경, 지방 등을 모두 갖춘 피부세포를 배양하는 덴 실패했다.

이런 소기관이 없으면 정상적인 피부라고 할 수 없다. 체온 조절, 촉각 등 기능에 장애가 생기고 외모도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미국 보스턴 아동병원 과학자들이 마침내 털이 나는 온전한 피부 조직을 오르가노이드(organoids)에서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 오르가노이드는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배양한 소형 유사 장기나 조직을 말한다.

관련 논문은 6일 권위 있는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 실렸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카를 쾰러 박사는 “진피층과 상피층을 동시에 길러내는 배양법을 발견했다”면서 “두 피부층이 오르가노이드에서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모낭, 지방세포, 신경세포 등이 형성됐다”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2018년 생쥐의 줄기세포에서 털이 나는 피부 조직을 만드는 데 성공한 바 있다.

이번 연구는 성인의 피부에서 떼어낸 세포를 배아세포로 역분화 시켜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드는 것에서 시작했다.

이것으로 길러낸 오르가노이드에서 진피와 상피가 함께 발달했고, 70일이 지나자 모낭이 싹트기 시작했다.

오르가노이드는 또한 촉각을 전달하는 신경뿐 아니라 피부 근육이나 지방과 비슷한 것도 형성했다.

최근 연구에서 피부의 지방은 상처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촉각 세포로 불리는 ‘메르켈 세포(Merkel cell)’도 오르가노이드에 생겼다.

표피 기저층의 예민한 부위에 존재하는 이 세포는 피부암의 일종인 ‘메르켈 세포암’과 관련이 있다. 이 세포 배양 기술이 암 치료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생쥐 모델에 이 기술을 시험해 상당히 고무적인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탈모 치료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을 보인다.

쾰러 박사는 “이식용 모낭을 거의 무제한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갖췄다”라면서 “하지만 면역 거부 반응을 피해 개인 맞춤형 모낭을 만들려면 1년 이상이 걸릴 테고 비용도 상상을 뛰어넘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렘데시비르, 한국인에 효과 있나 없나…아직도 ‘설왕설래’

국내 특례수입이 결정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렘데시비르’와 관련해 한국인에게 효과가 있느냐 없느냐를 두고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

렘데시비르를 국내에 도입하기로 결정한 데 영향을 끼친 미국 국립보건원(NIH) 임상에서 아시아인만 별도로 보면 효과에 대한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의료계에서는 전체 환자의 회복 기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냈다는 점을 더 높이 평가한다.

6일 의료계에 따르면 렘데시비르는 NIH가 주도한 임상시험에서 코로나19 환자의 회복 기간을 15일에서 11일로 단축했다. 전 세계 10개국, 73개 의료기관에서 코로나19 폐렴 환자 1천63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해 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1천59명을 추린 결과다.

이 임상은 국내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가 렘데시비르를 코로나19 치료제로 사용해야 한다는 권고를 내린 배경이기도 하다. 국내에서는 서울대병원이 참여했고, 연구 결과는 지난달 22일 자로 의학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에 게재됐다.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이런 임상시험 결과는 고무적이었다. 환자의 회복 기간을 줄이면 퇴원을 앞당겨 의료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활용이 가능해진다. 코로나19 대규모 유행 시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병상 및 의료진 부족 등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단 같은 연구 결과를 놓고 다른 해석도 나온다. 렘데시비르는 인종에 따라 치료 효과에 차이가 있어 아시아인에게는 큰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재미 한국인 과학자의 지적이 제기됐다.

최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와 18개국 재외한국과학기술자협회가 공동 개최한 온라인 포럼에서 윤주흥 미국 피츠버그의대 교수는 “렘데시비르는 최근 발표된 임상시험 결과 백인에게는 효과가 있으나 아시아인에게는 효과가 없었다”고 말했다.

윤 교수가 언급한 임상시험도 NIH가 발표한 연구다. 해석에 차이가 나는 이유는 임상시험 대상자 전체의 유의성을 보느냐와 인종별 차이를 보느냐에 따라 결과가 다소 달라지기 때문이다.

실제 이 임상시험에서 전체적으로는 렘데시비르가 환자의 회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보고됐으나, 아시아 인종만 따로 보면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단 의료계는 임상시험 대상자 중 아시아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은 데서 오는 결과일 수 있다고 본다.

임상시험 대상자 1천59명 중 한국을 포함해 아시아 지역에서 참여한 코로나19 폐렴 환자는 52명이다. 인종으로 보면 아시아인 참여자는 134명으로 전체의 약 12.7%다.

미국에서 주도한 임상시험이다 보니 북미에서 등록한 코로나19 환자가 844명에 달하고, 인종별로도 백인이 563명으로 가장 많다.

김우주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이번 임상에서 아시아인에 대해서는 렘데시비르가 통계적 유의성을 갖춘 치료 효과를 내지 못한 게 사실”이라면서도 “단순히 아시아인에 효과가 없다기보다는 임상시험에 참여한 충분한 수의 환자가 없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나의 임상시험만 가지고 효과가 있느냐 없느냐를 판단할 게 아니라 렘데시비르가 한국인을 포함한 아시아인에게도 과연 백인처럼 효과적인지에 대한 별도의 연구를 진행하는 방안을 고려할 만하다”고 조언했다.

렘데시비르는 에크모(ECMO·체외막산소요법)가 필요한 위중 환자에게는 효과가 없다는 것도 한계로 지적된다. NIH 연구에서도 입원 후 산소치료가 필요한 정도의 환자에 가장 효과가 있었고, 에크모를 달아야 할 정도로 악화한 272명은 렘데시비르 투여 후에도 별다른 차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럼에도 렘데시비르는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의학계의 실험 과정에서 현재까지 유일하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된 치료제로 지목되고 있다.

최근 길리어드사이언스는 렘데시비르가 중간 정도 증상인 코로나19 환자에 효과를 보였다는 임상시험 중간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국내 방역당국은 렘데시비르를 특례수입하기로 결정하고, 수입업자인 길리어드사이언스코리아와 협의 중이다.

이탈리아 신규 확진 다시 500명대↑…”사악한 적 아직 있다” 닫기

이탈리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일주일 만에 다시 500명대로 올라섰다. 이탈리아 보건당국은 5일 오후 6시(현지시간)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하루 새 518명 증가해 누적 23만4천531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 집계된 수치(177명)보다 3배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지난달 28일 이후 8일 만에 가장 최고치다. 신규 확진자 가운데 402명(77.6%)은 바이러스 확산 거점인 롬바르디아주에서 나왔다.

사망자 수는 85명 증가한 3만3천774명이다. 하루 신규 사망자 증가폭은 전날(88명)과 비슷하다.이날 신규 확진자 증가가 이탈리아 정부의 봉쇄 완화 정책과 어떠한 역학적 연관성을 갖는지는 분명치 않다.

다만 이러한 증가세가 이어진다면 지난 3일 발효된 유럽 관광객 입국 허용과 자국민의 전면적인 국내 이동·여행 자유화 조처 등에 대한 비판 여론이 형성될 가능성도 있다.

상대적 바이러스 피해가 적은 남부 지역 주지사들은 그동안 롬바르디아를 비롯해 여전히 신규 감염자가 많은 북부 주민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하면 바이러스가 더 광범위하게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해왔다.

한편, 로베르토 스페란차 보건부 장관은 이날 볼로냐의 중환자 병상 개소식에 참석해 코로나19와의 전투에서 아직 승리한 게 아니라면서 지나친 낙관과 방심을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페란차 장관은 “우리가 바이러스를 물리쳤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그 사악한 적은 아직 여기에 있으며 여전히 최고 수준의 경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결혼 전 성관계 했다고…회초리 100대 맞은 인니 커플

결혼 전에 성관계를 가진 인도네시아의 커플이 마스크 착용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 조치를 지키면서 공개 회초리를 맞았다.

6일 AFP통신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전날 아체주에서 한 남녀가 공개적으로 각각 회초리 1백대를 맞았다.

이들은 결혼 전에 성관계를 맺었다가 적발돼 이런 벌을 받았다.

이슬람 근본주의가 강한 아체주는 인도네시아에서 유독 이슬람 율법인 ‘샤리아’를 엄격하게 해석한다.

음주, 도박, 동성애, 불륜, 공공장소 애정행각 등을 저지른 이에게 태형을 가한다. 종교경찰이 위반자를 단속한다.

이날 이들 남녀는 코로나19 감염을 막기 위해 발열 검사를 마치고 마스크를 착용한 뒤 회초리형을 소화했다.

인도네시아에는 현재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대중 집회가 금지된 상태지만 지역 당국은 감염 방지 안전 규정을 지켰다며 공개 태형을 강행했다.

아체주의 이 같은 처벌을 둘러싸고 인권침해 논란도 자주 발생한다. 아체주의 규제가 여성, 소수파 종교, 성 소수자 등에 대한 억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인도네시아는 온건하고 관용적인 이슬람 국가로 분류됐으나, 수년 전부터 원리주의 기조가 강화되는 분위기다. 인도네시아에서는 6일 993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해 누적 확진자 수는 3만514명이 됐다.

이날 기록된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발병 이후 최다 규모다.

인도네시아의 확진자 수는 지난달 들어 하루 400∼500명씩 늘다가 하순부터는 600∼900명 수준으로 증가했다. 사망자는 전날보다 31명 증가해 1801명이 됐다.

이웃 나라 말레이시아에서는 이날 감염자 38명이 추가돼 누적 확진자는 8304명이 됐다.

누적 사망자는 117명으로 신규 사망자는 1명이다.

베트남, 한국 기업인 예외입국 허용

베트남 정부가 한국 기업인의 입국을 허용하면서 현지 기업활동 재개가 기대되고 있다.

하노이 한인상공인연합회는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대기업과 중소기업 임직원 등 800 여 명의 입국을 예외적으로 허가 받았다고 전했다.

이미 100 여 명은 9일 항공편을 이용해 베트남에 입국했다. 예외 입국은 기업인 뿐만 아니라 가족도 포함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해 한국인 등의 입국을 통제해왔으며 이번 입국자들은 격리기간을 준수하고 별도 검진도 받을 예정이다.

앞서 7일에는 베트남 국제학교에 다니는 한국인 유학생 등 200 여 명이 입국하면서 학업을 재개하게 됐다.

해외 언론, 남북 채널 단절에 비상한 관심

북한이 9일 정오부터 청와대를 포함한 남북당국 간 통신 연락선을 완전차단·폐기한 데 대해 주변국들이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해외 언론들이 전했다.

NHK는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이 기자회견에서 “일본에 끼칠 영향에 대해 예단하지 않지만 미·일, 한·일, 한·미·일 3개국이 긴밀한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NHK는 “문재인 정부가 남은 2년 임기동안 남북관계 개선을 추진하려하지만 이같이 북한의 강경한 입장에 흔들리면서 대북 대응에 고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로이터통신은 “통신을 끊기로 한 이번 결정은 북한 핵무기를 포기하도록 설득하려는 노력을 후퇴시킨다”고 전했다. 로이터는 주재우 경희대학교 교수를 인용해 “북한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고 남한에서 뭔가를 짜내려고 하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

미국 국가위원회 다니엘 워스는 트위터에서 “북한이 통신을 끊는 것은 진부한 수법이지만 위험할 수도 있다”며 “위기상황에서 정기적 대화 채널이 가장 필요한 데 북한은 위험이 고조되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통신을 차단했다”고 분석했다.

로이터와 BBC는 공통적으로 “한국전쟁은 평화협정이 아닌 휴전협정으로, 엄밀히 말해 남북은 전쟁상태에 있다”고 진단했다.북한 내부 현안을 국외로 돌리기 위한 차원이라는 전통적인 분석도 나왔다.

NHK는 “북한이 이전부터 반복되던 전단문제를 구실로 한국에 대한 적대심을 부추겨 체제 단속을 하려는 의도도 있다고 보인다”고 밝혔다.

로이터도 북한이 코로나19 위기와 국제 제재로 인한 피해에다 경제적 압력도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BBC는 “이번 통신선 차단 조치가 단지 국경 너머로 전단을 보내는 데 대한 반발이 아닌, 북한의 더 큰 계획의 일부일 가능성이 있다”고 방송했다.BBC는 “북한은 차기 회담에서 지렛대로 이용하기 위해 위기를 조성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지만 이웃 국가에 더 많은 것을 요구하기 위해 싸우는 것은 망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전쟁도 아닌데”…매년 미국서 1천명 경찰총에 죽는다

경찰의 총격으로 매년 미국에서 숨지는 사람은 몇 명이나 될까?

경찰의 무력사용 오남용에 대한 미국내 여론이 들끓고 경찰개혁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 워싱턴포스트(WP)가 2015년부터 경찰의 총에 맞아 숨진 사망자 집계 결과를 8일(현지시간) 정리해 보도했다.

워싱턴포스트는 2015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경찰의 총격으로 목숨을 잃는 사람을 자체 집계한 결과 매년 거의 1천명 가량이 숨졌다고 보도했다.

2015년에는 994명, 2016년 962명, 2017년 986명이었다가 2018년 991명, 2019년 1004명으로 늘었다.

올해 상반기에는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사회적거리두기와 격리조치로 상당수 시민의 활동에 제약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6월 첫주까지 463명이 사망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오히려 49명이 많았다.

경찰의 총격에 희생된 사람을 인종별로 보면 백인이 전체의 45%, 흑인이 23%, 히스패닉이 16%로 나타났다.

미국의 전체 인구 구성은 백인이 60%로 3분의 2 가까이 되고, 히스패닉 18%, 흑인은 13% 등이다.

이를 감안해 인구대비 인종별 사망자를 살펴보니 흑인의 사망자가 백인보다 월등히 높았다.

경찰이 총격을 가한 사건의 94%는 용의자가 총기나 흉기로 무장한 상태에서 벌어진다. 그러나 용의자가 무장하지 않은 나머지 6%의 상황에서도 전체 인구 대비 흑인이 목숨을 잃는 비율이 높았다.

2016년에는 경찰 총격에 비무장 미국인 51명이 사망했는데, 이 가운데 백인이 22명, 흑인은 19명이었다. 인구 대비 흑인의 비율이 월등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국 민주당은 흑인 등 소수인종을 겨냥한 폭력을 포함해 공권력의 과도한 집행을 제한하는 법안을 이날 발의했다.

뉴욕 경제 재개에 뉴욕증시 폭발…나스닥 역대 최고치

미국 내에서 코로나19의 진앙지라는 오명을 받았던 뉴욕시 8일(현지시간) 1단계 경제 활동 재개에 들어갔다.

지난 3월 1일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나온지 100일째 되는 날이다.

뉴욕시는 이날 부터 건설과 제조업, 농업, 도매, 일부 소매업 활동이 재개됐다.

뉴욕시는 이번 조치로 최대 40만명이 일터로 복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뉴욕시의 경제 활동 재개에 이날 뉴욕증시도 폭등세 마감으로 화답했다.

다우존스 지수는 461.46포인트(1.70%) 상승한 27,572.22, S&P500지수는 38.46포인트(1.20%) 오른 3,232.39에 장을 마쳤다.

특히 나스닥지수는 110.66포인트(1.13%) 상승한 9,924.75에 거래를 마쳤다. 사상 최고치다.

지난 2월 19일에 기록한 종전 최고치(9,817.18)를 약 4개월 만에 갱신했다.

백악관 담벼락 도배한 구호 숨은 뜻…ACAB? REER?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으로 촉발된 미국의 시위가 평화적으로 전환되고 있는 가운데 시위대들의 요구가 워싱턴DC 백악관 앞에 분출되고 있다.

7일(현지시간) 시민들의 백악관 접근이 가장 쉬운 라파예트 공원과 마주한 백악관 북쪽 철제 담벼락은 각자가 써 붙인 각양각색의 구호로 도배돼 있었다.

거리에 나선 시위대의 손팻말과 달리 담벼락에 붙은 구호는 누군가 떼지 않는 한 오래 붙어있기 때문에 인파들의 시선을 잡기에 충분한 곳이다.

보면 이해할 수 있는 구호도 있었지만 우리에게는 매우 생소한 글귀도 상당수 붙어있었다.

‘Silence is Violence'(침묵은 폭력)은 단순하면서 강렬한 구호로 언론사 카메라 앞에 가장 노출도가 높은 것 가운데 하나다.

7일(현지시간) 백악관 앞 시위대들. ‘Silence is Violence’, ‘Injustice anywhere is a threat to justice everywhere’라는 손 팻말을 들고 있다.’Injustice anywhere is a threat to justice everywhere’라는 문구를 크게 적어 온 시위대도 있었다.

마틴 루터 킹 목사의 명언으로 말 그대로 ‘어떤 한 곳에서 정의롭지 못한 일이 벌어졌다면, 그 것은 다른 곳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뜻을 담고 있다.

‘If you are a racist I will attack you with the north’라는 문구는 아브라함 링컨 대통령의 어록이다.

‘당신이 인종차별자라면 나는 북부군과 함께 당신을 공격하겠다’는 뜻이다.

‘북부군'(the North)이란 남북 전쟁 당시 흑인 노예화에 반대했던 ‘북부 연맹’의 군을 말한다.백악관 담벼락 아래 시위대. 가운데 사람이 든 손팻말에 ‘If you are a racist I will attack you with the north’라는 링컨 대통령의 어록이 적혀 있다. 그 뒤로 ACAB(All Cops Are Bastards)라는 줄임말이 보인다.
‘Respect Existence or Expect Resistance’라는 구절도 눈길을 끈다.

‘존재를 존중하지 않으면 저항을 각오하라’ 정도로 옮길 수 있는 이 문구는 미국의 유명 흑인 혁명가 말콤 X의 어록에서 따 온 말로 알려져 있다.

“We declare our right on this earth to be a human being, to be respected as a human being in this society, on this earth, in this day which we intend to bring into existence by any means necessary.”(우리는 이 세상에서 인간이 될 권리 즉 지금 이 순간, 이 사회에서 인간으로서 존중받을 권리를 선언하며, 필요한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존재하게 하려고 한다)는 말을 축약한 표현이다.

이는 ‘All Cops Are Bastards'(경찰관들은 다 나쁘다)의 앞 글자를 따서 만든 것이라고 한다.

1972년 동명의 드라마가 나온 뒤 경찰의 폭력적이고 강압적인 공권력 행사를 비판하는데 널리 이용되는 구절이다.

‘Defund Police’라는 표현은 최근 가장 널리 회자되는 구호가운데 하나다.

‘defund’는 ‘주던 돈을 끊다’는 뜻으로 경찰에 대한 재정 중단을 의미한다.

베트남 전쟁 종식을 촉구할 때 나왔던 구호가 ‘defund the war(전쟁 지원 중단)’였다. 경찰 해체에 버금가는 급진적인 요구인 셈이다.

실제로 빌 드 블라지오 뉴욕시장도 이날 경찰예산 삭감을 이날 약속했다.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 이후 경찰 개혁 요구가 들끓자 60억 달러에 이르는 뉴욕시 예산 가운데 일부를 삭감해 청년 서비스와 사회복지 등에 전용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뉴욕시가 가장 먼저 ‘경찰 재정 중단’을 실천에 옮긴 셈이다.한편, 이번 시위 속에 가장 널리 구전되고 있는 구호는 단연 BLM(Black Lives Matter)이다.

흑인 목숨도 중요하다는 구호 옆에 BTLN(Black Transgender Lives Matter)라는 글귀도 나붙어있는 걸 볼 수 있다.

그 밖에 아래의 구호도 눈에 띄었다.

– No justice no peace.(정의 없이는 평화도 없다)
– Let them breathe.(그들을 숨쉬게 하라)
– Dear good cops, your silence is consent.(착한 경찰관님들, 당신의 침묵은 동의입니다)
– The people are empowered, The president is coward.(시민들에게 권력이 있습니다. 대통령은 겁쟁이일 뿐입니다)
– 8 minutes 46 seconds.(8분 46초. 조지 플로이드가 경찰관에 목이 졸린 시간)
– Black is not a crime.(검은 것이 죄는 아닙니다)

美 흑인 의원들은 왜 ‘차별금지법’ 폐지 나섰을까

백인 경찰의 과잉 진압으로 사망한 흑인 조지 플로이드 사건으로 미국 내 인종차별 반대 시위가 어느 때보다 거세다.

이런 와중에 대입 인종 할당제와 인종 선호를 허용하는 법안이 캘리포니아 의회 통과를 앞두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이 법안을 발의한 흑인과 히스패닉 민주당 의원들은 조지 플로이드 사망은 물론이고, 평소에도 인종차별 반대 목소리를 내왔기에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문제가 된 캘리포니아 의회 헌법 개정안 5호(ACA-5)에는 1996년 11월 발의안 제209호로 개정된 주 헌법 조항을 폐지하자는 내용이 담겨 있다.

캘리포니아 시민권 발의안으로 불리는 이 개정안은 캘리포니아 주 정부 기관이 인종, 성별, 피부색, 민족성에 근거해 개인 또는 단체를 차별하거나 우대할 수 없도록 했다. 캘리포니아 시민이라면 누구든 인종이나 성별에 따라 불평등하게 대우받지 않게 한 것이다.

그런데 ACA-5는 오히려 이 같은 차별·우대 금지 조항이 ‘역차별’을 낳았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특히 소수 인종들이 질 좋은 공교육 시스템에서 배제되면서 그 차별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고 비판했다.

ACA-5에 따르면 연방법은 대입에서 ‘인종 선호’를 허용한다. 그러나 캘리포니아 대학교들은 이 개정안 때문에 성적이 우수한 소수 인종 학생들을 입학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을 할 수 없다. 인종에 따라 ‘차별’도 안되지만 ‘우대’도 할 수 없는 법조항 때문이다.

그러면서 한 지역 판사의 말을 인용해 “엄격한 조사에도 살아남는 인종 다양성 입시제도는 상호 존중과 이해를 장려하는 다양한 사회적 분위기를 제공하게 한다. 대학이 학업 등 우수성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인종의 학생들이 구성하도록 하는 인종 중립적 대안이 없다”라고 꼬집었다.

ACA-5는 마지막으로 “캘리포니아는 미국 헌법(연방법)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사회적 약자 집단에 대한 차별을 시정하고, 대학 입학 및 채용과 계약 결정 요소 중 성별, 인종의 다양성을 고려하도록 허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만약 해당 법안이 통과되면 연방 지원을 받는 공립 대학이나 공공기관은 소수 인종 기회 확대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구현해야 한다. 또 성적 외 인종, 민족, 성별 등 다른 우대 요건이 발생할 수도 있다. 최종 합격을 결정할 때, 이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는 게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입 시험 성적이 월등하게 높은 아시아계 미국인이 가장 불이익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캘리포니아 아시아계 커뮤니티에서는 미국 내 만연한 아시아인 차별에 더욱 박차를 가하는 법안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는 비판이 팽배하다.

캘리포니아에 거주 중인 한 네티즌은 “아무리 인종 다양성을 외쳐도 암묵적으로 대학 정원 60~70%는 백인들로 채운다. 나머지 파이를 소수 인종들이 가지고 싸우는 것이고, 아시아인들은 당당하게 노력해서 얻은 성적으로 입학한다. 저 법안이 통과되면 다른 주에서도 압박이 들어올 것이고, 아시아인들은 더 설 자리가 없어진다”라고 반대했다.

국제 청원사이트에 올라온 ACA-5 반대 청원에는 8일 현재 6만 6800명이 넘는 인원이 서명했다.

청원 제안자는 “일부 캘리포니아 주의회 의원들이 발의안 제209호를 완전히 철회하고 인종, 성별, 피부색, 민족 또는 출신 국가를 근거로 사람을 차별하기 위해 부당하게 시간을 되돌릴 것을 제안하고 있다”라고 토로했다.

또 미국 수정 헌법 제14조를 근거로 “어느 주도 해당 관할권 내에서 법의 평등한 보호를 거부할 수 없다고 명시하고 있다. ACA-5는 여전히 인종차별의 한 형태인 인종적 존재를 주법에 다시 도입한다. 따라서 이는 미국 헌법의 위반”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이 법안은 캘리포니아를 분열시키고 인종, 성별, 색깔, 민족성 또는 국가적 기원에 근거해 서로 대립하게 할 것이다. 소수 집단의 성과를 단순한 특혜의 결과로 최소화할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