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ay, September 8, 2025
Home Blog Page 431

“바이든, 틱톡 매각 중단 지시”

미국이 중국의 동영상 공유 앱인 틱톡을 사실상 강제 인수하려던 계획에 제동이 걸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0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국 IT 업체들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을 점검하는 과정에서 틱톡과 관련된 행정명령의 집행을 무기한 중단하라고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인의 개인정보가 중국 정부에 넘어갈 위험이 크다는 이유로 틱톡의 미국 사업 부문을 매각하라는 행정명령을 내린 바 있다.

이 같은 행정명령에 따라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는 미국 오라클과 합작회사를 설립한 뒤 이 곳에 지분을 매각하기로 했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그러나 합작회사 설립 대신 제3자가 틱톡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미국인의 개인정보 유출 우려를 해결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고 전했다.

모리, 사퇴 압박에 결국 ‘백기’…도쿄올림픽 차질 예상

모리 요시로(森喜朗·83)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 회장이 ‘여성 멸시’ 발언에 책임을 지고 사퇴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올림픽 준비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가뜩이나 도쿄올림픽 회의론이 수그러들지 않은 상황에서 최고 책임자 부재 사태에 직면하게 됐기 때문이다.

11일 교도통신과 마이니치신문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모리 회장은 회장직 사퇴 결심을 굳히고 주변 인사들에게 사임 의향을 전달했다.

모리 회장은 오는 12일 조직위가 개최하는 이사·평의원 긴급 합동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사의를 표명할 것으로 보인다고 일본 언론들은 전했다.

앞서 모리 회장은 지난 3일 열린 일본올림픽위원회(JOC) 임시 평의원회에서 여성 이사 증원 문제를 언급하면서 “여성이 많은 이사회는 (회의 진행에) 시간이 걸린다”고 말했다.

여성 멸시 논란이 제기되자 모리 회장은 다음 날 취재진 앞에서 자신의 발언에 대해 사죄했지만, 회장직에서 사퇴할 의사는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후 국내외 비판 여론이 비등하고 도쿄올림픽 자원봉사자들이 무더기로 사퇴하는 등 모리 회장의 사임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계속 커졌다.

모리 회장의 사죄로 끝난 문제라던 국제올림픽위원회(IOC)도 선수와 올림픽 후원사 등의 반발에 지난 9일 모리 회장의 발언은 “완전히 부적절하다”고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하기에 이른다.

사태가 계속 악화하자 일본 여권에서도 모리 회장 퇴진론이 부상했다.

집권 자민당의 노다 세이코(野田聖子) 간사장 대행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모리 회장의 거취와 관련 “일본이라는 나라 자체가 오도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면서 “확실히 많은 목소리를 받아들여 (모리 회장) 스스로 방향을 제시해줬으면 한다”며 자진 사퇴를 요구하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일본 정부 관계자도 “(모리 회장이) 그만둘 수밖에 없다”는 견해를 밝혔다고 요미우리신문은 이날 전했다.

고이케 유리코(小池百合子) 도쿄도(東京都) 지사도 전날 취재진에 이달 중으로 예정된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 모리 회장, 하시모토 세이코(橋本聖子) 올림픽 담당상 등이 참여하는 도쿄올림픽 4자 회담에 불참하겠다는 의사를 표명, 사실상 모리 회장의 퇴진을 압박했다.

개최 도시의 수장인 고이케 지사의 이런 발언에 일본 정부와 자민당, 조직위 관계자들이 동요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마(群馬)현과 돗토리(鳥取)현 등 일부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지사들도 “올림픽을 앞둔 일본의 국익을 크게 훼손하고 있다”며 모리 회장의 사퇴를 촉구하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이런 상황에서 도쿄올림픽 최대 후원사 중 하나인 도요타자동차도 모리 회장의 발언이 “도요타가 소중히 여기는 가치관과 달라 정말로 유감”이라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모리 회장은 결국 자신의 발언에 책임을 지고 사퇴하는 모양새가 됐지만, 6개월 앞으로 다가온 도쿄올림픽 준비에 차질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2014년 1월 조직위 회장에 취임한 모리 회장은 총리를 역임한 거물로 스포츠 분야에도 영향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재계의 탄탄한 인맥을 토대로 올림픽 준비를 주도해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런 인물이 회장직에서 물러남에 따라 도쿄올림픽 개최를 준비하는 조직위는 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일본 내 코로나19 확산으로 긴급사태가 발령된 상황이고, 미국과 유럽 등 해외에서 여전히 코로나19가 맹위를 떨치고 있어 도쿄올림픽 회의론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교도통신은 “대회 개최 여부를 둘러싼 회의론 속에 (모리 회장의 사퇴로) 개최 준비는 더 혼미해졌다”고 우려했다.

현대차, 다목적 미래 모빌리티 로봇 ‘타이거’ 공개

현대자동차그룹이 모빌리티와 로보틱스 기술의 융합을 통해 이동의 한계를 뛰어넘는 신개념 미래 모빌리티 개발에 나선다.

현대차는 10일 변신하는 지능형 지상 이동 로봇 ‘타이거(Transforming Intelligent Ground Excursion Robot, TIGER)’를 공개했다. 유튜브 등을 통해 영상으로 접할 수 있다.

현대차그룹 산하의 미래 모빌리티 담당 조직 ‘뉴 호라이즌스 스튜디오(New Horizons Studio)’에서 개발한 타이거는 2019년 CES에서 처음 공개했던 걸어다니는 모빌리티 ‘엘리베이트(Elevate)’와 유사한 모듈형 플랫폼 구조를 갖췄다. 이번에 공개된 타이거의 첫 번째 콘셉트 모델은 ‘X-1’으로 명명됐으며, 여기서 ‘X’는 ‘실험용(Experimental)’을 의미한다.

타이거는 길이 약 80cm, 폭 약 40cm, 무게 약 12kg에 4개의 다리와 바퀴가 달린 소형 무인 모빌리티로 성능이 뛰어난 오프로드 차량도 갈 수 없는 험난한 지형까지 지능형 로봇 기술과 바퀴를 결합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

타이거의 차체는 △다양한 센서를 활용한 과학 탐사 및 연구 △응급 구조시 긴급 보급품 수송 △오지로의 상품 배송 등 일반 차량으로는 어려운 다목적 임무 수행에 적합하게 설계됐으며, 전진과 후진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쉽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대칭적인 디자인(Symmetric Design)’ 구조를 갖췄다. 장애물이 있거나 바퀴를 이용해 지나기 힘든 지형을 통과해야 할 때는 로봇 다리의 보행 능력을 이용하고, 평탄한 지형에서는 4륜구동 차량으로 변신해 속도를 내서 주행할 수 있다.

현대차그룹은 10일(수) 변신하는 지능형 지상 이동 로봇 ‘타이거(Transforming Intelligent Ground Excursion Robot, TIGER)’를 현대차그룹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처음 공개했다. 현대차그룹, 걸어다니는 무인 모빌리티 타이거. 현대차그룹 제공또한 차체 내부에는 별도의 화물 적재실을 갖춰 물품 보호기능을 강화했으며, 로봇 다리로 상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험로와 극지 등 노면의 상태가 불규칙한 공간에서도 물품을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다.

뉴 호라이즌스 스튜디오는 타이거를 오픈 이노베이션 방식으로 개발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기반의 엔지니어링 설계 분야의 선두 기업 ‘오토데스크(Autodesk)’, 콘셉트 디자인 전문 기업 ‘선드버그-페라(Sundberg-Ferar)’ 등과 협업했다.

오토데스크와는 AI 기반의 ‘제너레이티브 디자인(Generative Design)’ 기술로 타이거의 다리, 휠, 섀시, 타이어까지 가볍고 견고한 3D 프린팅 제조가 가능하도록 설계 부문에서 협업했으며, 선드버그-페라는 외부 스타일링, 차체, 섀시, 다리 부품 설계 및 소프트웨어 개발 부문에 참여했다.

현대차그룹은 향후에도 뉴 호라이즌스 스튜디오을 중심으로 전 세계의 혁신적 기업들과 협력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의 새로운 가능성을 다각도로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차그룹 뉴 호라이즌스 스튜디오의 존 서(John Suh) 상무는 “타이거와 같은 미래 모빌리티와 그 토대가 되는 신기술은 우리의 상상력이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한다”며 “뉴 호라이즌스 스튜디오에서는 차량의 설계와 제조 방식 그리고 미래 모빌리티의 개념을 재정립할 수 있는 방안을 끊임없이 찾아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美상원 ‘트럼프 탄핵심판 합헌’ 표결…본격심리 돌입

미국 상원은 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을 합헌으로 표결했다.

미 상원은 이날 퇴임한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이 헌법에 합치되는 것인지에 대한 표결을 했고 찬성 56표, 반대 44표가 나왔다.

이에 따라 상원의 탄핵심판은 본격 심리에 돌입한다. 이날 표결에 앞서 퇴임 대통령도 탄핵 대상이 된다는 하원 탄핵소추위원단과 그럴 수 없다는 트럼프 전 대통령 변호인단이 4시간에 걸쳐 공방을 벌였다.

상원은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을 이날 시작하면서 탄핵심판 자체의 합헌성을 두고 표결을 먼저 하기로 했다. 이후 양쪽이 16시간씩의 변론 시간을 얻어 본격 심리를 진행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탄핵 여부는 다음주로 예상되는 표결에서 결정된다. 공화당에서 17표의 이탈표가 나와야 해 탄핵안 통과 가능성은 작은 편이다.

일라이릴리, 코로나 항체치료제 FDA 사용승인

일라이릴리의 ‘밤라니비맙’과 ‘에테세비맙’을 혼합한 코로나19 항체치료제가 미국 FDA(식품의약국)의 긴급사용 승인을 받았다.

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일라이릴리는 이날 성명을 내고 이 같은 사실을 발표했다.

두 항체치료제를 혼합한 치료법은 3상 임상시험에서 코로나19 환자의 입원과 사망 위험을 70% 줄이는 효과를 보였다.

일라이릴리는 “10만회 분이 즉시 사용 가능하고 15만회 분이 1분기 안에 추가로 사용 가능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또 제약사 암젠과 협력해 올해 중반까지 100만회 분을 생산할 계획이다.

이 치료법의 승인된 사용 대상은 12세 이상의 경증과 중증 사이에 있는 코로나19 환자다. 다만 FDA는 코로나19로 인해 입원 치료를 받고 있거나 산소요법이 필요한 환자는 사용 승인대상에서 제외했다.joo501@cbs.co.kr

국내선 코로나 음성증명서 의무화추진, 여행업계 반발

지난 8일 미 교통부 피트 부티지지 장관은 국내선 비행기 탑승객의 코로나 음성 증명서를 의무화하는 법을 추진중이라고 발표했다. 부티지지 장관은 질병예방센터 CDC와 이 안건에 대해 논의중이며 과학적인 데이터와 실무진들의 의견을 경청해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음성증명서 의무화 조치로 국민들이 더 안전한 여행을 할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항공기 제조사 보잉과 여행업계측은 불필요한 일이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의무화 시행이 되면 더 많은 비용이 발생하고 위기에 처한 항공업계에 연방정부의 지원이 더 필요할 것이라고 반대입장을 밝혔다.

행정부, 와이오밍 국유지 대여 석유생산 중지

마크 고든 와이오밍 주지사는 어제 8일 바이든 행정부의 석유와 가스산업을 제한하는 행정명령이 업계에 직격탄을 가져온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공화당 소속인 고든 주지사는 연방정부의 석유와 가스시추 중단명령은 와이오밍 뿐 아니라 에너지 업계 전반에 즉각적이고 상당한 피해를 입힐 것이며, 관련 서비스 업종에도 타격이 클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후 ‘지금은 행동할 때’라는 캐치플래어로 시작한 기후변화 정책으로 지난 1월 20일 석유와 가스 산업제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따라, 와이오밍 주에서의 석유와 가스자원의 발굴에 대한 연방정부의  임대를 일방적으로 중단했다. 현재 와이오밍주의 주 땅과 지하의 거의 절반이 연방정부의 소유이다. 고든 주지사는 현재 연방정부의 행정명령에 대응해 주정부가 할수 있는 법적 선택권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의대지원 역대 최고, 소수계 지원 급증

미국 의학계에 서서히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미 의과대학협회는 지난 4일 지난해과 올해에 걸쳐 의과대학 지원이 급증해 역대 최고이며 소수계의 의대지원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고 밝혔다. 흑인 의대 지원자 수가 거의 40% 증가했고  라틴계 응시자도 21% 늘었다. 이러한 변화의 원인을 정확히 설명할수 없지만, 팬데믹 사태와 최근 벌어진 인종차별 사건에 대한 영향이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스탠포드 의대는 90명 선발에 11,000명이 지원했고 보스톤 의대는 110명 선발에 12,024명이 지원했다. 이처럼 이례적으로 의대지원이 증가한 원인으로 파우치 효과 때문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국립 알레르기 감염병 연구소장 파우치 박사를 비롯해 많은 의료진들의 코로나 퇴치를 위한 노력들이 좋은 롤모델로 인식되어 지원자가 늘어났다고 보기도 한다.

바이든, 폐쇄된 학교와 여성 노동인구 손실은 국가 비상사태

바이든 대통령은 최근 방송 인터뷰에서 학생들이 교실에 들어가지 못하는 것과 국가인력에 여성들이 많이 준것은 국가적 비상사태라고 표현했다. 또한 이번 주 질병관리본부의 학교개교 지침공개를 앞두고 이제 학교가 다시 개교할 때가 되었다고 언급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아이들이 1년동안 집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어, 취임 100일 전까지는 다시 개교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또한  개교시에 엄격한 안전요건을 시행할 것을 강조했다.

82개 권익단체 사형집행 폐지 요청

82개의 미 권익단체들은 지난 8일 성명을 내고 연방 사형집행을 중단해 달라고 요청했다. 시민 자유연합(Civil Liberty Union)과 인권리더십컨퍼런스(Leadership Conference on Civil and Human Rights)등 82개 단체는 바이든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미 형사법 체계에서 평등과 형평성을 보장하겠다는 약속을 이행하고 사형집행을 폐지할것을 촉구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후 기후와 이민등 주요 이슈에 대해 40개의 행정명령에 서명한바 있다. 또한, 사형제도에 반대하며 사형제 폐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바이든 대통령은 사형제도에 반대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나 현재로는 아직 이에관한 구체적 조치가 준비되어 있지 않다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