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백신 여권, 국제표준 만들어야”

코로나19로 제한된 국내외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백신 여권이 도입됐지만, 주로 자국 내에서만 사용되고 해외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등 활용은 미흡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4일 ‘글로벌 백신 여권 활성화 방안’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고, 각 국가들이 각자 개발 중인 플랫폼을 상호 인정하거나 국제 표준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백신 여권은 코로나19로 제약된 자유로운 통행과 활동을 위해 백신접종 완료 사실을 확인해주는 증명서다. 백신 여권은 모임 금지, 입국 제한 등 코로나19에 따른 봉쇄조치로 관광 등 관련 사업이 타격을 받고, 자가 격리 등으로 불편함이 야기되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도입됐다.

유엔 세계관광기구(UNWTO) 통계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지난해 전 세계 관광객은 전년 대비 73%(10억 7천만 명) 급감하고, 글로벌 국내총생산(GDP) 손실이 2조 달러(2228조 원)를 넘어서는 등 관광산업이 큰 타격을 받았다.

또 출입국 시 자가격리 등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도 경제활동을 저해하고 있다. 한국에서 이웃 나라인 중국 베이징으로 출장을 다녀올 경우 출입국 절차와 자가격리로 최대 42일이 걸리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런 이유로 전 세계 국가들은 백신 여권 도입을 적극적으로 환영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WEF)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국민 77%가 해외여행 시 백신 여권을 소지하는 것을 찬성했고, 공연장이나 경기장을 입장할 때 백신 여권이 필요하다는 응답 비율도 68%에 달했다. 또 백신 여권이 여행이나 대규모 공연의 안전 보장에 효율적이라는 응답 비율도 73%였다.

하지만 현재 백신 여권은 국제 표준이 없고, 도입돼도 자국 내에서만 주로 사용된다는 한계가 있다고 전경련은 지적했다.

백신 여권을 도입한 국가는 이스라엘과 덴마크, 중국, 미국 뉴욕주 등으로 이중 해외 입출국 시 인정되는 백신 여권은 아예 없다. 다만 이스라엘과 그리스, 호주와 뉴질랜드(트레블 버블) 등은 상호 협의를 거쳐 해당 국가 사이에서 자유롭게 왕래를 허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국이 개발 중인 백신 여권 플랫폼을 상호 인정하거나 국제 표준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특히 승인된 백신이 국가별로 다른 상황에서 자국이 승인하지 않은 백신 접종자에 대해서도 국가들이 인정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아울러 건강정보와 동선 노출 등 개인정보 침해와 백신 확보가 늦은 국가 국민에 대한 차별, 면역 유효기간 논란 등도 해결해야 할 문제다.

전경련 관계자는 “B7 정상회의 등에서 세계보건기구(WHO)와 같은 공신력 있는 기관이 백신 여권 정보 기준 등을 표준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고 밝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4일 ‘글로벌 백신 여권 활성화 방안’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고, 각 국가들이 각자 개발 중인 플랫폼을 상호 인정하거나 국제 표준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백신 여권은 코로나19로 제약된 자유로운 통행과 활동을 위해 백신접종 완료 사실을 확인해주는 증명서다. 백신 여권은 모임 금지, 입국 제한 등 코로나19에 따른 봉쇄조치로 관광 등 관련 사업이 타격을 받고, 자가 격리 등으로 불편함이 야기되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도입됐다.

유엔 세계관광기구(UNWTO) 통계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지난해 전 세계 관광객은 전년 대비 73%(10억 7천만 명) 급감하고, 글로벌 국내총생산(GDP) 손실이 2조 달러(2228조 원)를 넘어서는 등 관광산업이 큰 타격을 받았다.

또 출입국 시 자가격리 등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도 경제활동을 저해하고 있다. 한국에서 이웃 나라인 중국 베이징으로 출장을 다녀올 경우 출입국 절차와 자가격리로 최대 42일이 걸리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런 이유로 전 세계 국가들은 백신 여권 도입을 적극적으로 환영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WEF)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국민 77%가 해외여행 시 백신 여권을 소지하는 것을 찬성했고, 공연장이나 경기장을 입장할 때 백신 여권이 필요하다는 응답 비율도 68%에 달했다. 또 백신 여권이 여행이나 대규모 공연의 안전 보장에 효율적이라는 응답 비율도 73%였다.

하지만 현재 백신 여권은 국제 표준이 없고, 도입돼도 자국 내에서만 주로 사용된다는 한계가 있다고 전경련은 지적했다.

백신 여권을 도입한 국가는 이스라엘과 덴마크, 중국, 미국 뉴욕주 등으로 이중 해외 입출국 시 인정되는 백신 여권은 아예 없다. 다만 이스라엘과 그리스, 호주와 뉴질랜드(트레블 버블) 등은 상호 협의를 거쳐 해당 국가 사이에서 자유롭게 왕래를 허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국이 개발 중인 백신 여권 플랫폼을 상호 인정하거나 국제 표준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특히 승인된 백신이 국가별로 다른 상황에서 자국이 승인하지 않은 백신 접종자에 대해서도 국가들이 인정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아울러 건강정보와 동선 노출 등 개인정보 침해와 백신 확보가 늦은 국가 국민에 대한 차별, 면역 유효기간 논란 등도 해결해야 할 문제다.

전경련 관계자는 “B7 정상회의 등에서 세계보건기구(WHO)와 같은 공신력 있는 기관이 백신 여권 정보 기준 등을 표준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