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곡물값 인상에 장바구니 물가 비상

생활물가와 직결되는 국제유가와 곡물값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앞으로 장바구니 물가 오름폭이 더 커질 전망이다.

지난 12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3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는 전날보다 배럴당 2.1%(1.23달러) 오른 59.47달러에 마감했다.

유가는 1년 전과 비교할 때 16% 넘게 올랐다. 코로나19 팬데믹에 유가가 배럴당 10달러까지 급락한 지난해 4월에 비해서는 6배 급등했다.

대두, 옥수수, 밀을 비롯한 곡물 가격 상승폭은 더욱 심상찮다. 대두 가격은 1부셸(27.2㎏)당 13.72달러로 1년 전(8.93달러)보다 53.7% 급등했다.

옥수수 가격은 5.39달러로 40.7%, 소맥(밀)은 6.37달러로 16.3%, 귀리는 3.51달러로 15.4% 올랐다.

최근 유가와 곡물값 상승 등의 영향으로 올 1월 생산자물가는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03.78로 11월보다 0.7% 올랐다. 1월에도 생산자물가가 상승하면 석 달 째 오름세를 보이는 것이다.

지난해 12월 생산자물가지수를 품목별로 보면 농림수산품 물가가 전월대비 2.3% 올랐다. 특히 딸기(116.8%)·사과(21.3%)·오이(59.6%) 등 농산물이 5.9%나 뛰었다.

석탄·석유제품(11%), 화학제품(1.2%) 등의 물가가 오르면서 전체 공산품 생산자물가도 전월 대비 1.0% 상승했다.

올라간 원자재·곡물값은 시차를 두고 생활물가를 끌어올리게 된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오르기 시작한 곡물가격은 제품값 인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뚜레쥬르는 빵값을 약 9% 올렸고 롯데칠성음료는 6년 만에 음료수 가격을 평균 7.0% 올렸다.

인상된 곡물가격이 과자, 라면, 즉석식품에 본격 반영되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올라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국제유가가 오르면 공산품 가격 인상은 물론 연료비에 연동되는 전기요금 인상 압력이 커지게 된다.

한은 관계자는 “생산자물가가 국제유가 상승, 농산물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오름세에 있다”며 “생산자물가는 2주에서 2개월 정도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전 세계적으로 자금이 넘쳐나는 등의 영향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은 상당기간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