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mRNA 백신 기술, 해외와 3년 격차”

화이자와 모더나 등 해외 유명 코로나19 백신이 사용하고 있는 ‘mRNA'(메신저RNA)방식의 백신 기술과 관련해 우리나라가 해외보다 약 3년 정도 뒤쳐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25일 ‘코로나19 치료제 백신 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같이 판단했다.

정부는 그러나 “기업과 학계에서는 이런 기술 격차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단기간 내에 해소가 가능하다는 의견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mRNA 백신 개발을 위해 필수적인 기술인 △항원디자인 및 최적화 △원자재 생산 △mRNA생산 △지질나노입자 등 백신 전달체 생산 △정제 △대량생산 △효능 평가 등 7개 분야 기술을 집중 개발, 지원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 제공정부는 각 분야별로 부처별 역할을 나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특허 회피 등 핵심원천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질병청은 비임상후보물질 발굴, 효능점검, 기술융합, 보건복지부는 임상지원 지원, 산업통상자원부는 원자재,생산기술,기반구축,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안전성 및 유효성 품질평가기술개발, 특허청은 특허분석 및 특허회피 전략 수립 지원을 담당하도록 했다.

정부는 또 코로나19 국산 백신 개발을 위해 올해 하반기에는 임상 3상 시험에 대한 지원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이를 위해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을 통해 임상3상에 필요한 임상시험 참여자를 대규모로 모집하기로 했다.

또한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임상시험을 할 수 있도록 임상비용도 지원한다. 올해 백신 임상시험 지원 예산은 지난해 490억 원에서 97억 원 증가한 687억 원이다.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 지원위 10차 회의. 연합뉴스정부는 또 국산 백신의 글로벌 신뢰성 제고와 생산설비 투자 지원을 위해 선구매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선구매 대상 백신은 임상2상 중간결과가 나오고 임상 3상에 진입한 백신 가운데 면역원성과 안전성, 성공 가능성, 생산능력, 접종 용이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하기로 했다.

현재 코로나19 국산 백신은 5개 회사가 개발중에 있으며, 모두 임상 1~2상에 머물고 있다. 백신 방식은 아스트라제네카와 같은 ‘바이러스벡터’ 방식이 1개, DNA 방식이 2개, 노바벡스와 같은 ‘합성항원’ 방식이 2개다. mRNA 방식의 국산 백신은 약 10여개 기업들이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 임상 시험 단계에는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