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고래 싸움’에… 삼성, 파운드리·5G 점유율 높이나

미중 무역 갈등으로 미국의 중국 기업 제재가 강도를 더해가면서, 삼성전자가 5G 장비와 파운드리 분야 등에서 ‘글로벌 영토’를 넓힐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삼성, 美 버라이즌과 8조원대 5G 장비 공급…美 제재로 화웨이는 ‘흔들’

삼성전자가 최근 미국 1위 통신사업자 버라이즌과 8조원에 달하는 대형 통신장비 계약을 맺었다고 공시하자 업계는 모두 그 ‘상징성’에 주목했다.

세계 최대인 미국 시장에서 1위를 달리고 있는 버라이즌의 5G 장비를 삼성전자가 깔게 되면서 삼성의 제품 경쟁력과 기술력을 전 세계에 공인하는 효과를 낳았기 때문이다.

삼성은 이번 버라이즌과의 계약으로 올해 안에 글로벌 5G 장비 시장 점유율을 2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에도 한발 다가서게 됐다.

지난 1분기 기준 삼성전자의 5G 기지국 점유율은 13.2%로 화웨이(35.7%), 에릭슨(24.6%), 노키아(15.8%)에 이어 4위였지만, ‘지각 변동’의 여지는 남아있다.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미국의 중국 제재가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정부는 중국 화웨이 통신장비 보안 문제를 이유로 들며 우방국에 불매를 강권하고 있다.

미국 주요 통신사는 4G 통신장비까지도 보안을 이유로 중국 장비를 쓰지 않았지만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미국의 우방국 상당수는 화웨이 장비를 썼다.

하지만 미국의 연이은 설득에 영국, 캐나다, 호주, 인도 등이 ‘화웨이 배제’ 의사를 밝히면서 자연스레 그 ‘빈 틈’을 삼성이 채울 수 있는 기회가 생긴 것이다.

◇미국의 반도체 제재, 中 파운드리 1위 SMIC로까지 이어질까

반도체 관련 미국의 중국 견제도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이 중국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 업체(파운드리)인 SMIC를 ‘블랙리스트(거래 제한 명단)’에 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하면서 한국 반도체 업계도 촉각을 세운 채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2030 시스템 반도체 1위’를 선언한 삼성전자와 중국 고객 비중이 높은 SK하이닉스 시스템IC 등이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00년 설립된 SMIC는 중국 상하이에 본사를 둔 중국 최대, 세계 5위 규모 파운드리 업체다.

미국의 제재가 현실이 될 경우 SMIC는 미국 업체로부터 장비⋅부품을 수입할 수 없다. 자연스레 경쟁사와의 기술력 싸움에서 뒤처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미국이 화웨이에 이어 SMIC까지 제재할 경우 사실상 중국에 대한 ‘반도체 봉쇄’에 나선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어 중국의 ‘반도체 굴기’ 역시 난관에 봉착할 수도 있다.

먼저, 미국의 SMIC 제재 움직임은 화웨이 제재의 연속선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지난 5월 미국은 화웨이를 제재하면서 파운드리 세계 1위인 대만 TSMC와의 거래를 막았다.

그랬더니 화웨이는 TSMC 대안으로 SMIC를 꼽았다. 이것이 미국이 SMIC를 타깃으로 삼은 직접적인 이유라는 것이다.

SMIC는 회로선폭 ’14나노미터’ 공정을 주력으로 해 최첨단 통신칩 제조엔 한계가 있지만 중저가용 제품은 충분히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여기다 업계에서는 SMIC를 ‘7나노미터 공정’에 진입할 수 있는 잠재적인 도전자로 간주해왔다.

여기다 미국의 SMIC 제재는 더 나아가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겨냥한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중심이 과거의 종합반도체기업에서 엔비디아, 퀄컴, AMD 등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로 옮겨가면서 이런 팹리스의 설계를 반도체 생산으로 이어주는 파운드리의 중요성이 그만큼 커졌기 때문이다.

현재 SMIC는 기술력 면에서는 세계 1위 반도체 생산 업체인 대만 TSMC나 2위인 한국 삼성전자보다 5년 이상 뒤처진 것으로 알려져있다.

문제는 SMIC가 기술력 경쟁을 하기 위해서는 소재·장비·소프트웨어를 미국으로부터 수입해야하는데, 만약 블랙리스트에 이름을 올릴 경우 기본적으로 이 루트가 막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SMIC는 파운드리 1~4위 업체와 점유율 면에서 큰 격차를 보이는 5위에 랭크돼 있지만, 중국 1위 파운드리임은 분명하다.

TSMC, 삼성전자와 자웅을 겨루기 위해서는 대규모 장비 투자를 포함한 기술 발전이 뒤따라야하는데 미국의 제재가 지속된다면 업계 특성상 고사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반면, 미국의 중국 반도체 업체 제재는 한국 파운드리업체에게는 반사이익으로 돌아올 공산이 크다.

먼저 대만 TSMC와 양강 체제를 형성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수혜가 클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앞서 언급했듯이 SMIC는 현재 삼성전자와 TSMC만 가능한 7나노미터 공정 진입을 노리던 ‘잠재적인 경쟁자’였다.

중국 시장을 적극 공략중인 SK하이닉스IC 등 국내 중소형 파운드리업체의 고객 확보가 활로가 생길 것이란 전망도 있다.

SMIC의 지난 2분기 매출 구성을 보면 지역별로는 중국의 비중이 66.1%, 공정별로는 90나노미터 이상 라인 비중이 42.7%인데, SK하이닉스시스템IC와 DB하이텍 등이 공략하고 있는 시장과 상당 부분 겹치기 때문이다.

◇삼성 파운드리, 대형 고객사 잇단 ‘수주’…고객 다변화 ‘청신호’

(사진=황진환 기자/자료사진)이런 상황에서 삼성전자 파운드리가 IBM, 엔비디아에 이어 퀄컴 수주에도 성공했다. 최근 들어 대형 고객사 제품을 잇따라 수주하며 삼성 파운드리의 아킬레스건이었던 ‘고객 다변화’에 청신호를 켜고 있다.

최근 삼성전자는 퀄컴의 5G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스냅드래곤 4-시리즈의 생산을 맡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스냅드래곤4-시리즈는 중저가형 스마트폰을 겨냥한 퀄컴의 5G 칩이다.

스냅드래곤4-시리즈는 샤오미, 오포, 모토로라 등이 구매자로 알려진 가운데, 내년 1분기 상용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IBM은 지난달 서버용 중앙처리장치(CPU) ‘파워10’을 삼성전자 파운드리에서 만든다고 공개했다. 엔비디아도 지난 1일 그래픽처리장치(GPU) ‘지포스 RTX30’ 생산을 삼성전자에 맡겼다고 발표했다.

다만, 시장 조사기관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삼성전자 파운드리 점유율은 17.4%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돼 53.9%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 TSMC과의 격차는 아직 큰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