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받는 중국의 ‘마스크 외교’…곳곳에서 불협화음

코로나19가 처음 시작된 중국이 적극적인 마스크 외교로 ‘코로나 발원국’이라는 오명씻기에 나섰지만 서방과의 바이러스 기원 논란에 이어 통계 수정, 아프리카인 차별 등의 문제가 불거지면서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다.코로나19 안정기에 접어든 중국이 세계 각지에 마스크와 방호복, 인공호흡기를 보내고 일부 국가에는 의료진을 파견한다는 소식은 중국 관영 언론의 단골 메뉴였다.

하지만 한계효용체감의 법칙 때문인지 코로나19를 먼저 겪은 국가로서 국에 의료 장비와 축적된 노하우를 지원하고 전수한다는 뉴스는 시간이 지나면서 기사 가치나 신선도 면에서 빛이 바래고 있다.게다가 네덜란드 스페인 필리핀 등 각지에서 무상지원하거나 판매한 의료 장비들의 수준 이하인 사실이 드러나면서 중국산 마스크는 ‘국위 선양’의 상징이라기 보다는 중국의 ‘중저가’ 이미지만 키운셈이 됐다.

코로나19 방역에 성공하고 다른 나라에 도움을 준 국가라는 점을 확실히 각인시키려면 자국의 대처가 깔끔하고 외국도 인정 해야할 만 하지만 중국의 처지가 그렇지 못한 점도 ‘마스크 물량 공세’의 값어치를 떨어뜨리고 있다.또 코로나19 발발초기의 안일안 대처, 비공개.·비밀주의와 잦은 통계 방식 등의 변경은 중국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고, 잘못은 인정하지 않고 힘 자랑만 하려는 국가로 생각되게 만들었다.

특히 모든 은폐·엄폐로 빚어진 전세계의 코로나 팬데믹이 시진핑 주석 집권 후반기로 올수록 심해진 사회통제의 결과로 인식은 중국 마스크 외교가 커버할 수 있는 범위 저 바깥에 있다.